fnctId=thesis,fnctNo=318
도서관 추천도서목록의 활용성 제고 방안 : 청소년 추천도서목록을 중심으로
- 링크
-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7a392931ad5d9e50ffe0bdc3ef48d419&keyword=%EB%B0%95%EB%AF%B8%EC%A7%84
- 작성자
- 조지은
- 저자
- 박미진
- 발행사항
- 부산 :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 발행일
- 2023.02.
- 국문초록
- 도서 추천은 독자들의 상황과 필요에 적합한 도서를 추천하고 이를 다양한 형식으로 제시하는 정보서비스로써 공중의 독서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도서관의 설립 목적에 입각한 중요한 서비스이다. 이에 도서관은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자료를 소개하고 적합한 도서를 추천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도서관의 추천도서는 일종의 도서관 서비스 데이터로써 도서관 사서가 다음 도서 추천 및 프로그램 기획 시 참고할 수 있는 자료이자 이용자가 도서관의 소장자료를 평가하고 연계된 프로그램을 탐색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데이터이다. 이러한 도서관의 도서 추천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추천도서의 선정, 추천된 도서의 특징, 이용자와 사서들의 활용 등 도서관 추천도서목록의 현황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도서 추천 대상 범위를 청소년으로 한정하여 추천도서목록의 특징을 분석하고 사서와 이용자의 인식을 조사하여 도서관 추천도서목록의 활용성 제고 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국내 청소년 추천도서목록의 등장과 발전 과정을 정리하였다. 이어서 도서관 추천도서목록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기관별 청소년 추천도서목록의 특징을 비교하고자 추천도서의 선정, 추천된 도서의 특징, 추천도서목록의 제공 방식을 분석하였으며, 도서관 추천도서목록에 대한 사서와 이용자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기 위한 면담을 수행하였다.
살펴본 내용을 종합하여 이 연구에서 제안한 도서관 추천도서목록의 활용성 제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체적이고 명확한 선정기준을 세워야 한다. 둘째, 주제별 목록을 구성해야 한다. 셋째, 추천도서의 상세 추천정보에서 도서의 주제 분야, 저자 및 출판사 관련 정보, 추천 사유, 리뷰 등의 이용자 정보를 제시해야 한다. 넷째, 이용자의 편리성을 고려한 인터페이스를 설계해야 한다. 다섯째, 도서관 목록과 추천도서목록을 연계해야 한다. 여섯째, 추천도서의 전시 및 도서관 프로그램과의 연계를 통해 추천도서목록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활용해야 한다.
이 연구는 추천의 대상이 되는 청소년을 직접 면담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다만, 어린이 및 청소년과 밀접히 접촉하는 이들을 통한 간접적 조사도 의미가 있다는 선행연구에 따르면, 청소년들을 일상적으로 대면하는 사서교사를 통해 전문가의 관점에서 청소년 추천도서목록의 이용 현황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영문초록
- As an information service, library recommends books suitable for readers' situations and needs and presents them in various formats. It is an important service based on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library to support public reading activities, so library is putting a lot of time and effort into introducing various materials to users and recommending suitable books. The data of library's recommended books is a kind of library service data that librarians can refer to when planning the next book recommendation or programs and that can help users evaluate the library's collection and explore linked programs. In order to utilize the library's book recommendation data,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library’s recommendations, such as the selection criteria, characteristics of recommended books, and the use of users and librari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measures to enhance the usability of library recommended book list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recommended book lists and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of librarians and users. The scope for analysis was limited to recommended book lists for teenag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following three stages: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ummariz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youth recommended book list in Korea; Second, analyzed the recommended book list issued by six institutions; Third, conducted an interview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librarians and users to the library recommended book list.
By synthesizing the contents examined, measures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library recommended book lists propo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ection criteria should be specific and clear. Second, book lists should be organized by subject, genre, and theme. Third, in the detailed information of recommended books, the subject field of the book, information related to authors and publishers, reasons for recommendation, and user information like reviews should be presented. Fourth, user convenience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interfaces. Fifth, the recommended book lists should be linked with the library catalogs. Sixth, the recommended book lists should be actively promoted, exhibited, and linked with library programs.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was not able to directly interview adolescents who are the subject of the recommendation. However, according to previous study that indirect surveys through those who are in close contact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are also meaningfu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deriv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use of library’s recommended book lists for adolescents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ts who face teenagers on a daily basis.
- 일반텍스트
-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