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thesis,fnctNo=318
결혼이주여성 대상 공공도서관프로그램 연구
- 링크
- https://www.riss.kr/link?id=T16856883
- 작성자
- 조지은
- 저자
- 정수인
- 발행사항
- 부산 :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 발행일
- 2023.08.
- 국문초록
- 2022년 12월 도서관법이 개정되며 지식정보 취약계층 대상에 ‘다문화가족’이 추가되었다. 공공도서관이 지식정보 취약계층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공적 책무이다. 우리나라의 다문화 가구 규모는 약 35만 가구로, 결혼이민자 가구가 82.4%이며, 이중 여성이 82.5%로 결혼이주여성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결혼이주여성은 이주국의 이질적인 문화, 언어적 장벽, 가족과의 갈등, 취직 문제, 건강 문제, 자녀 양육 등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한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이 일상에서 마주하는 어려움을 해소하는 한 방안으로 공공도서관프로그램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22년도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 다문화서비스 지원기관 132개관의 326개 프로그램을 분석하였으며, 면담이라는 질적 접근 방식을 통해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이 일상에서 겪는 어려움과 도서관 및 도서관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수요를 조사하고, 다문화서비스 담당 사서를 대상으로 결혼이주여성 대상 공공도서관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제공 경험을 조사하였다.
326개 다문화프로그램 중 결혼이주여성 대상 프로그램 116개를 프로그램 목적과 내용으로 분석한 결과 주로 문화 체험 프로그램과 독서 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결혼이주여성이 일상에서 마주하는 어려움인 언어 문제, 경제적 어려움, 취업 문제, 외로움, 자녀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제공은 미미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결혼이주여성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과 공공도서관이 제공하는 프로그램 간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혼이주여성 면담 결과 한국에서의 삶, 한국어 학습, 도서관 경험, 도서관프로그램 수요로 내용을 범주화하였다. 이들이 한국에서 겪는 어려움에는 귀화 문제, 은행?병원 방문, 가족관계, 자녀교육 및 양육, 한국문화와 요리, 경제활동, 의사소통 문제가 있었다. 연구 참여자 모두가 한국에서 8년 이상 거주하였으나 여전히 한국어 학습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모두 모국에서의 도서관 이용 경험은 있는 반면, 한국에서의 도서관 이용 경험이 없는 참여자가 2명으로 이유는 의사소통의 어려움, 일하느라 바빠서로 나타났다. 도서관프로그램에 대한 수요로 선호하는 운영형식은 집합교육, 주 1~2회, 1시간 동안 진행, 선주민과 이주민이 함께 어울리는 방식이었으며, 프로그램 내용은 글쓰기와 읽기, 노래 교실, 한국어교육, 임신 및 출산 교육, 자녀교육 및 양육, 취업 및 사업 지원, 컴퓨터 교육, 한국문화와 요리로 나타났다.
사서 면담 결과 다문화자료실과 다문화 장서, 다문화프로그램, 다문화서비스 담당 사서,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생각, 타 기관과의 협력으로 내용을 범주화할 수 있었다. 다문화자료실과 다문화 장서를 제공하고 있었으나 이용이 활발하지 못했으며, 다문화프로그램은 기획, 설계, 마케팅, 운영, 평가의 단계로 제공 경험을 살펴보았다. 다문화서비스 담당 사서로서 겪는 고충에는 순환보직, 업무 과다, 이론과 다른 현장이 있었으며, 이주민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하는 포부가 있었다. 사서들이 가진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생각을 6가지로 정리하였으며, 타 기관과의 협력 현황을 살펴보았다.
다문화프로그램 사례조사, 결혼이주여성과 사서 면담을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 대상 공공도서관프로그램의 운영 방안을 1) 결혼이주여성 집단 세분화 접근 전략, 2) 프로그램 내용, 3) 프로그램 운영형식, 4) 참여자 모집 및 홍보, 5) 다문화서비스 담당 사서의 역량 개발 및 인력 활용, 6) 타 기관과의 협력, 7) 도서관다문화프로그램공유시스템 개선과 활성화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대상 공공도서관프로그램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사례조사, 면담 등 종합적인 고찰을 통해 공공도서관에서 실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운영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영문초록
- In December 2022, the Library Act was amended to include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category of vulnerable information groups. Public libraries have a responsibility to provide diverse services to vulnerable groups. In Korea, multicultural house holds amount to approximately 350,000, of which 82.4% are married immigrant households. Among the married immigrant households, 82.5% are comprised of married immigrant women.
Married immigrant women encounter various challenges in their daily lives in a foreign country, including cultural differences, language barriers, family conflicts, employment difficulties, health issues, and parenting challenges. This study focuses on public library programs as a solution to address these difficulties faced by married immigrant women.
This study analyzed 326 programs at 132 multicultural service support institutions in the library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 2022.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married immigrant women in order to identify the specific challenges they experience in their daily lives and their demand for library services and programs. Multicultural service librarians were also interviewed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s and experiences in providing public library program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Upon analyzing 116 programs specifically designed for married immigrant women out of the 326 multicultural programs, it was found that cultural experience programs and reading programs were the main types offered. However, it was observed that the provision of programs addressing language problems, economic difficulties, employment issues, loneliness, and children's problems faced by married immigrant women in their daily lives was inadequate. This indicates a significant disparity between the programs required by married immigrant women and those currently provided by public libraries.
Interviews with married immigrant women were categorized into themes such as life in Korea, Korean language learning, library experiences, and demands library programs.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ese women in Korea encompassed naturalization, navigating banks and hospitals, managing family relationships, educating and parenting children, adapting to Korean culture and cuisine, engaging in economic activities, and communication challenges. Although all research participants had resided in Korea for more than eight years, they still perceived the necessity of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While all participants had prior experience using libraries in their home countries, two individuals had not utilized libraries in Korea due to communication difficulties and work constraints. Married immigrant women expressed a preference for collective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once or twice a week for an hour and fostering interaction between native Koreans and migrants. Their preferred program content included writing, reading, singing classes, Korean language education, pregnancy and childbirth education, children's education and parenting, employment and business support, computer education, as well as Korean culture and cuisine.
Interviews with multicultural services librarians were categorized into themes such as multicultural rooms and multicultural books, multicultural programs, perceptions of librarians regarding multicultural services, and cooperation with other institutions. Although multicultural rooms and multicultural books were available, their utilization was limited. Multicultural programs were examined in the stages of planning, design, marketing, operation, and evaluation. The grievances experienced by librarians in charge of multicultural services include circular positions, excessive work, and different sites from theory. They aspired to provide programs that genuinely benefited migrants. The perceptions of librarians regarding multicultural services were summarized into six categories, and the current status of cooperation with other institutions was examined
Drawing on the insights gained from the case study of multicultural programs and interviews with married immigrant women and librarians, a plan for implementing a public library program specifically for married immigrant women was proposed. The plan include the following: 1) Group segmentation approach strategy for married immigrant women, 2) Program content, 3) Program operation format, 4) Recruitment and promotion of program participants, 5) Developing the capabilities of librarians in charge of multicultural services and utilizing human resources, 6) Cooperating with other institutions, 7) Improving and revitalizing the library's multicultural program sharing system.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proposes a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public libraries through comprehensive considerations, such as case studies and interviews. This contribution is particularly significant a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program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n public libraries.
- 일반텍스트
-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