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thesis,fnctNo=296
시민 기록활동가의 정동적 경험에 대한 연구
- 링크
- https://www.riss.kr/link?id=T17305588
- 작성자
- 조지은
- 저자
- 배은희
- 발행사항
- 부산 :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5
- 발행일
- 2025.08.
- 국문초록
- 자기 지역을 기록하는 시민은 어떤 경험을 하게 되는가? 본 연구는 시민 기록활동가 들의 감정과 그 감정의 이면에 자리한 이야기에 대한 연구자의 개인적인 궁금증에서 시작되었다. 최근 몇 년 사이 도시재생사업이나 마을공동체 활성화 사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기관에서 시민을 대상으로 한 기록활동 프로그램이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지역의 역사·문화 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통해 공동체를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시민 기록활동이 확산되고 있음에도, 기록활동이 개별 시민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시민의 기록활동이 개인의 인식이나 삶의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이 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그 영향과 의미를 실증적으로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개인의 감정에 주목하고 관계성을 강조하는 ‘정동(affect, 情動)’과 그와 관련한 개념들을 주요한 이론적 틀로 활용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문제는 ‘시민은 기록활동 과정에서 어떠한 정동적 경험을 하게 되는가?’, ‘시민은 정동적 경험을 통해 어떠한 ’당사자-되기‘를 경험하는가?’로 설정하였다.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정서적 경험과 인식의 변화가 상호 작용하는 속에서 존재의 변화를 경험하는 ‘정동적 경험’의 과정을 Latour의 행위자-연 결망이론(ANT)과 Deleuze & Guattari의 ‘되기(becoming)’ 개념을 접목해 이론적 배경 으로 삼았다. 또한 UCLA Community Archive Lab의 ‘정동적 영향 평가 툴킷’과 Brophy의 ‘영향 수준 모델’을 기반으로 시민 기록활동가의 정동적 경험 분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자연주의 탐구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질적 내용분석을 활용하고, 내러티브 방식의 서술 전략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023년 9월부터 2024년 2월까지 부산 북구와 영도구에서 기록활동 경험이 있는 11명의 시민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회의록, 활동 보고서, 기록활동 결과물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 하였다.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 참여자별 경험을 내러티브 방식으로 서술하고, 이를 해석했으며, ‘기록활동가 당사자-되기’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분석 모델의 틀에 따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인간/비인간을 구분하지 않는 다양한 정동적 행위자와의 관계를 통해 정서적 경험을 했으며, 지역/공동체와 기록활동, 자신과 세계관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또한 개인의 역량 변화, 정동적 행위자와의 관계 변화, 기록활동 지속에 대한 의지 생성, 지역/공동체 활동 참여의 측면에서 존재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이 모든 정동적 경험의 과정은 ‘당사자-되기’의 과정으로서 연구 참여자들은 ‘기록활동가 당사자-되기’와 ‘지역/공동체 당사자-되기’를 경험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기록관리 논의에서 조금 비켜나 시민 기록활동의 의미와 가치를 탐색함으로써 기록학의 논의 영역을 확장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아울러 ‘기록이 무엇을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통해 기록의 기능에 대한 상상력을 확장하는 계기로서 시민 기록활동의 의미와 가치를 재조명하고, 국내에서 전개되는 시민 기록활동이 나아 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시민 기록활동가의 정동적 경험에 대한 분석 과정을 구체화함으로써, 다양한 현장 기반 연구에서 시민 기록활동을 해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분석 틀을 마련하였다는 점에 서도 실천적 의미가 있다. 다만 본 연구는 특정 지역의 일부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이기 때문에 연구 결과가 연구문제에 대한 대표성을 가진다고 보기 어렵 다. 그리고 신뢰도와 타당도 검토를 진행했음에도 연구자의 주관적 해석이라는 한계는 여전히 존재한다. 향후 다양한 현장에서의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이를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 영문초록
- What experiences do citizens have documenting their own local areas? This study began with the researcher's personal curiosity about the emotions of citizen documentarians and the stories behind those emotions. In recent years, archival activity programs targeting citizens have been actively operated not only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or village community revitalization projects but also in various cultural institutions. Despite the spread of citizen archival activities aimed at discovering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restoring communities through them, research on the impact of archival activities on individual citizens remains insufficient.
This study was based on the premise that citizen archival activities influence their perceptions and ways of life, and sought to empirically explore the impact and meaning of such activities. To this end, the concepts of "affect" and related terms, which focus on individual emotions and emphasize relationality, were utilized as the primary theoretical framework. Accordingl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as follows: "What affective experiences do citizens encounter during archival activities?" and "How do citizens experience 'becoming a party' through affective experiences?" The process of "affective experiences," where individuals undergo existential changes through the interplay of emotional experiences and shifts in perception within relationships with others, was theorized by integrating Latour's Actor-Network Theory (ANT) and Deleuze & Guattari's concept of "becoming." And The analysis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UCLA Community Archive Lab's "Assessing the Affective Impact of Community Archives - A Toolkit" and Brophy's 'Level of Impact model'.
The research method employed a naturalistic inquiry paradigm, utiliz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applying a narrative-based descriptive strategy.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11 citizens with experience in archival activities in Buk-gu and Yeongdo-gu, Busan, from September 2023 to February 2024.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se subjects, and various materials such as meeting minutes, activity reports, and archival activity results were collected. Based on our analysis, we described and interpreted each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s in narrative form and examined how "becoming an archival activist" manifested itself. We also conducted a comprehensive analysis and derived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tical model framework.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participants formed emotional connections with various affective actors, whether human or non-human. These connections led to changes in their perceptions of their communities, recording activities, and worldviews. They also experienced changes in their existence in terms of changes in personal capabilities, changes in relationships with affective actors, the creation of a will to continue archival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in local/community activities. All of these affective experiences were part of the process of "becoming a party" 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becoming a archival activist party" and
"becoming a local/community par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s the scope of archival studies by exploring the meaning and value of citizen archival activities, moving slightly away from traditional archival management discussions. In addition, by asking the question,
"What does archives do?", this study reexamined the meaning and value of citizen archival activities as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imagination of the functions of recording, and presen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that citizen archival activities in Korea should take in the future. Furthermore, by concretizing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affective impact of citizens, this study has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has established an analytical framework for interpreting and evaluating citizen archival activities in various field-based studies. However,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limited number of research participants in a specific region, so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research results are representative of the research question. Furthermore, despite conducting reliability and validity checks,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er's subjective interpretation still remain. It is anticipated that future additional research in various field settings will help address these limitations.
- 일반텍스트
- 첨부파일